Major/Algorithm1 BarkingDog-0x01 :Basic Code Tips 🔹 0x01강 개념노트: 기초 코드 작성 요령 I1. 💡 시간 복잡도란?정의: 입력의 크기(n)에 따라 프로그램이 수행하는 연산 횟수.단위: 보통 1초에 약 3천만~1억 연산이 가능하다고 추정 (단순 연산 기준).중요한 이유: 시간 제한을 넘기지 않도록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분석할 수 있음.예시:for (i = 0; i 중첩 반복문: for (i = 0; i 2. 🧠 비고(Big-O) 표기법정의: 시간 복잡도의 "대표항"만을 남겨 표현하는 수학적 표기법목적: 상수항 제거하고, 입력 크기 n에 따라 걸리는 시간만을 직관적으로 나타냄표현식 Big-O 표기O(n + 3)O(n)O(2n + 5)O(n)O(n² + 2n + 4)O(n²)O(n log n)O(n log n)3. 📈 시간 복잡도별 실행 가능 범.. 2025. 7. 3. 이전 1 다음